전체 글 42

여름에 좋은 간식 서홍감자

서홍감자 어렸을때 감자를 많이 먹었다. 감자는 어느 곳에서나 잘 자랐고 반찬으로 간식으로도 빼놓을 수 없는 음식이었다. 맛도 좋아서 몇개 먹으면 한 끼를 대신할 정도로 속이 든든했다. 위키백과에 따르면 "감자는 쌍떡잎식물로 통화나물목 가지과의 여러해 살이 식물로 벼, 밀, 옥수수와 함께 세계 4대 작물에 속한다. 또한 고구마와 옥수수와 함께 대표적인 구황작물로 인류를 기아의 공포에서 구제한 고마운 작물이기도 하다." 오늘은 다양한 품종의 감자가 있지만 특별히 서홍감자를 소개한다. 서홍감자의 특징 서홍감자는 붉은 색을 띤 감자다. 어렸을 때는 볼 수 없었다. 데뎅이병을 잘 이길 수 있도록 2006년에 개발된 품종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맛이 궁금했다. 맛은 어떨까? 붉은 색을 띤 감자여서 보기에도 좋고 더 ..

건강/생활건강 2023.08.03

여름철 건강한 간식 무엇을 좋을까??

여름하면 여러분은 뭐가 생각나나요? 딱 떠오르는 게 옥수수 아닌가요? 다른 어떤 간식보다 맛있고 건강에 좋고 생각보다 칼로리도 높지 않아 다이어트에도 좋은 것 같아요. 옥수수는 어떻게 태어난 걸까? 옥수수는 종류도 다양하지만 종류마다 딱딱하고 부드러움의 정도에 따라 식감과 맛도 결정된다. 옥수수는 아메리카 대륙이 원산지이다. 탐험가들에 의해 유럽으로 전파된 이후 세계 전 지역에서 재배하고 있다. 약 1.5에서 2.5미터에 이를 정도로 키가큰다. 주요 생산국은 미국, 중국, 브라질, 멕시코, 아르헨티나 등이다. 어떤 옥수수를 골라야 할까? 옥수수는 껍질과 잎이 선명한 것이 좋다. 잎이 마르거나 검게 된 것은 수확한지 시간이 지났거나 병충해를 입은 것일 수 있다. 껍질을 조금만 열어봐도 알이 작거나 깜부기병..

건강/생활건강 2023.08.02

심장에 좋은 음식

요즘들어 부쩍 날씨가 더워졌다. 35도를 오르내리는 날씨에 많은 사람들이 힘들어 한다. 숨이 차고 땀이 난다. 가끔 현기증도 난다. 심장이 힘들어 하는 계절이다. ​ 심장은 뛴다. 왼쪽 가슴에 손을 얹고 있으면 심장이 뛰는 것을 느낄 수 있다. 마치 박자에 맞춰 춤을 추둣 혈액을 보낸다. 심장근육을 수축하여 대동맥 판맥 밖으로 혈액을 짜 보낸다. 심장에서 나온 혈액은 큰 혈관인 대동맥으로 분출되어 몸 구석구석으로 흩어진다. 혈액은 온 몸을 돌아 생각하게 만들고 행동하게 만들고 창조적인 일들을 한다. 심장이 보내는 긴급 구조신호 많은 사람들이 심장발작을 경험할때 전혀 증상을 느끼지 못한다고 한다. 어떤 증상을 느낄만한 어떤 것도 생각하지 못했다. 왜냐하면 전혀 다른 증상으로 형태로 나타날때가 많기 때문이다..

건강/생활건강 2023.08.01

조직의 목표와 개인의 목표가 다른 경우를 사례

서론: 사회복지조직의 목표와 개인의 목표 정의 조직목표는 조직을 이끄는 구심점이고, 조직이 발전하기 위한 비전이다. 그런 의미에서 보면 조직목표는 인간의 집합체인 조직이 달성하려는 장래의 상태이다. 조직의 목표는 조직을 구성하는 개인의 목표가 아니고, 인간의 집합체인 조직의 실체가 추구하는 목표이다. 조직의 목표는 미래에 지향된 비전이며 그것이 완전히 달성되면 목표로서의 효용과 의미를 상실한다. 목표는 이와 같이 미래지향적인 것이지만 그 영향은 미래에만 미치는 것이 아니라 현재의 조직행동에도 심대한 영향을 미친다. 목표는 조직에 필요하며 불가결한 하나의 속성이다. 사람들이 모여 공동적인 노력을 해 나가는 것이 조직이기 때문에 반드시 공동적으로 추구해야 할 목표가 있어야 한다. 모든 목표가 바람직하거나 좋..

카테고리 없음 2023.08.01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사회복지사가 인간발달에 관한 지식을 갖추어야 하는 이유와, 사회복지실천과의 연관성에 대해서 서술하시오. 서론: 인간행동을 이해한다는 것이 무엇인지 설명 인간행동이란 외부 또는 내부에서 발생하는 여러 자극에 대하여 인간이 보이는 총체적인 반응을 의미한다. 여기에는 관찰이 가능한 신체적인 행동뿐만 아니라 사고, 감정, 인지과정 등의 심리적 측면 및 상황적 측면까지 포함된다. 인간행동을 이해하는 관점으로는 첫째 환경 속에 인간의 관점이다. 인간행동은 사회 환경과 개인이 내적 외적으로 다양하게 상호작용한 결과이다. 따라서 사회복지 실천에서는 인간행동을 환경 속에 인간에서 이해해야 한다. 즉 인간을 능동적이고 주체적인 존재로서 인간과 환경의 관계를 하나의 통합된 주제로 이해하는 관점이다.\ 둘..

카테고리 없음 2023.07.30

한국 사회복지의 역사

한국의 사회복지역사 우리나라의 사회복지의 발달은 크게 왕정시대와 갑오개혁이후 일제 및 미군정 그리고 정부 수립이후의 공화국별로 구분할 수 있다. 1. 왕정시대 (1) 고대사회는 고대국가의 존립을 위한 목적으로 사회문제에 대한 국가의 대책은 진궁구휼의 구휼정책과 황정이 있었다. (2) 고조선 시대에는 홍익인간, 재세이화, 경천애인의 사상을 중심으로 부족사회와 재정일치의 정책으로 부족사회내에서 상부상조가 이루어졌다. (3) 삼국 시대와 통일 신라 시대는 군주의 책임에 대한 국가차원의 구제정책이 있었다. 고구려에는 진대법을 시행하여 3-7월 관곡대여후 10월에 상환하는 구제제도이다. 발창구제제도 있었는데 백성이 기아시 창고를 열어 구제하는 왕의 은사적 성격을 보여준다. (4) 고려 시대에는 지속적이고 법 체계..

카테고리 없음 2023.07.28

영국의 사회복지

서론 : 사회복지역사의 중요성 우리의 사회복지역사는 1920년대 일제 강점기를 거쳐, 1930년대 최초의 인보관 활동을 들 수있다. 근대 이전에는 주민들 간에 두레 활동과 같은 것으로 지역 주민들이 자발적인 참여를 중심으로 사회복지로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본격적인 사회복지의 시작은 1950년대 이후이다. 전쟁 이후 우리는 사회복지에 대한 지식, 정책, 행정이 없었으므로 원조를 통해 운영되었으며 그에 대한 필요성을 중요하게 느끼게 되었다. 그러므로 그러한 과거에 대한 재인식은 우리가 지금 왜 사회복지 정책을 발전시켜 나가야 하며 전문화가 필요한지를 가르쳐 준다. 사회복지의 역사적 전개에 영향을 미친 요인들은 단일 요인에 의해서가 아니다. 경제적, 사회구조적, 정치적, 문화적, 이념적, 종교적 요인들이 ..

카테고리 없음 2023.07.28

인간의 존엄성과 인권

사회복지정책론 과제 : 사회복지정책의 가장 중요한 가치는 인간 존엄성과 인권입니다. 하지만 불행히도 2020년 장애인학대 실태조사에 의하면 부모에 의한 학대가 전체의 15.4%로 나타났으며, 특히 18세 미만의 장애 아동 피해 사례의 경우에는 부모에 의한 학대가 48.9%로 가장 많았습니다. 부모에 의한 장애아동 학대의 실태와 원인 및 해결책을 사회복지정책과 인권이란 측면에서 서술해 주세요. 서론 장애아동의 학대 개념 및 실태 “장애인학대”의 개념은 장애인복지법에서 2012년 처음 도입되었다. 아동학대범죄에 대하여는 아동학대처벌법이 우선적으로 적용되나(아동학대처벌법 제3조), 장애아동 또한 장애인이라는 점에서 장애인학대 등의 개념과 장애인복지법에서 규율하는 장애아동 학대 관련 규정을 살펴보는 것이 장애아..

카테고리 없음 2023.07.27

사회복지 실천현장의 윤리적 딜레마

사회복지실천론 과제: 사회복지실천현장의 윤리적 딜레마의 사례를 들어 윤리적 쟁점에 대해 논하시오. 서론: 사회복지실천현장의 윤리적 책임과 사회복지사의 전문적 능력 사회복지사의 윤리강령에 따르면 “사회복지사는 인본주의·평등주의 사상에 기초하여, 모든 인간의 존엄성과 가치를 존중하고 천부의 자유권과 생존권의 보장활동에 헌신한다. 특히 사회적·경제적 약자들의 편에 서서 사회정의와 평등·자유와 민주주의 가치를 실현하는데 앞장선다. 또한 도움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의 사회적 지위와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저들과 함께 일하며, 사회제도 개선과, 관련된 제반 활동에 주도적으로 참여한다. 사회복지사는 개인의 주체성과 자기결정권을 보장하는데 최선을 다하고, 어떠한 여건에서도 개인이 부당하게 희생되는 일이 없도록 한다. 이..

카테고리 없음 2023.07.26

사회복지사의 윤리와 실천

사회복지실천기술론 과제 : 사회복지사의 윤리적 갈등과 사회복지사의 윤리적 실천원칙에 대하여 설명하고 사회복지사의 역할의 중요성을 논의하길 바랍니다. 서론 : 사회복지와 윤리적 갈등의 의미 설명하기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의 자기 결정권을 존중해야 하지만 클라이언트를 수용하는 능력, 법과 윤리, 사회복지기관의 기능에 따른 제한점 등의 이유 때문에 종종 갈등을 경험하는데 이를 윤리적 딜레마 갈등이라고 부른다. 윤리적 딜레마는 클라이언트의 자기결정권과의 관계 이외에도 많은 부분에서 발생한다. 따라서 사회복지사는 윤리적 갈등을 고려하여 윤리적 의사결정의 원칙을 가져야 한다. 사회복지전문직의 윤리적 갈등과 윤리적 의사결정의 원칙 사회복지는 그 대상이 사람이라는 특수성 때문에 그에 따른 전문성과 윤리의식의 가치체계가..

카테고리 없음 2023.07.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