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학/사회복지실천론

복지 포퓰리즘에 대해 설명하고 다양한 사례를 제시하며 타인에 대한 어떤 태도를 가져야 하는지 논하라

도전하라 그대 창조하리라 2023. 8. 25. 21:11


1. 복지 포퓰리즘은 무엇인가 

포퓰리즘은 '대중', '민중'이라는 뜻의 라틴어 '포퓰러스(populus)'에서 유래된 말로, "보통사람들 (대중)의 요구와 바람을 대변하려는 정치사상, 활동"이라고 정의한다(캠브리지사전). 따라서 복지 포퓰리즘이란, 대중에 의해서 요구되어지는 복지 요구와 바람을 정책에 반영하는 활동이라 할 수 있다.

2. 포퓰리즘의 사례 

박지혜 정치평론가에 의하면 「지금 우리는 포퓰리즘 시대를 살고 있다」에서 포퓰리즘은 이견의 여지가 큰 개념이다. 그래서 이를 이해하는 방식도 꽤나 다양하다. 한편에서는 민중이 정치 참여를 통해 구축하는 민주적 생활방식을 말한다. 이러한 해석에서 포퓰리즘은 민중을 동원하고 공동체 주의적 민주주의 모델을 발전시키는 긍정적인 힘이다. 일부 진보주의자들이 선호하는 라클라우식 접근법도 있다. 여기서 포퓰리즘은 기성 체제의 변화를 위해 정치에 갈등을 불러들이며 사회에서 배제된 부문을 동원하는 급진 민주주의 실현의 기제이다. 

  이와 반대로 포퓰리즘을 비판적으로 바라보는 관점도 있다. 경제학자과 언론인들 사이에 널리 퍼져 있는 사회경제적 접근에 따르면, 포퓰리즘이란 과도한 부의 재분배와 정부 지출로 건전한 경제 발전을 막는 무책임한 정책 프로그램이다. 지도자가 직접적이고 무매개적인 지지에 의존하는 통치 전략이라는 정의도 있다. 같은 맥락에서 아마추어적이고 비전문적인 정치 행위를 통해 미디어의 관심과 대중의 지지를 극대화하는 통속적 정치 스타일이라는 해석도 있다. 
포퓰리즘은 긍정적인 면도 부정적인 면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비판적으로 바라보아야 한다. 

3.  타인의 의견을 존중하는 태도와 문제점이라 생각되는 사례에 대해 제안하고자 하는 의견

보통 사람들은 장애를 가진 사람들에 대해 선입관을 가지고 바라본다. 그래서 장애인들에 말이나 행동을 비하하거나 조롱하는 경우도 많다. 그 결과 많은 장애인들이 사회적응에 더 힘들어하고 사람들과의 만남을 힘들어한다. 똑같은 인간으로서 자유와 행복을 보장 받아야 함에도 불구하고 장애를 가졌다는 이유로 소외되고 있는 것이다.    

타인의 의견을 존중해야 할 이유는 가장 기본적으로 나와 상대방은 다른 성격, 가치관, 흥미, 경험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우리 모두는 옳을 수도 그를 수도 있다. 그러므로 서로 존중하고 인정받아야 한다는 태도를 가져야 할 것이다. 나는 옳고 상대방은 그르다는 태도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모든 것이 자기중심적으로 의사소통하게 된다. 따라서 상대방은 진심을 숨기고 가식적으로 소통하게 만들 수 있으며, 나는옳지 않고 상대방은 옳다는 태도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모든 것이 상대방 중심적으로 의사소통하게 됨으로서 항상 손해 본다는 느낌을 가지게 만들 것이다. 그 결과 항상 상대방에게 의존하게 됨으로서 소모적인 의사소통을 하게 만들 수 있으며, 나도 옳지 않고 상대방도 그르다는 태도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비생산적이고 파괴적인 의사소통을 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의사소통을 잘하기 위해서는 나와 상대방을 존중하는 태도, 나와 상대방의 성격을 이해하고 인정하는 능력, 경청능력, 공감능력, 질문하는 능력, 말하는 능력, 기본적인 의사소통 기술 등이 필요한 것이다.